Light of Weaving ; Labour-Hand-Hours

Traveling Korean Arts Project x London Craft Week

장소 : Grand Buildings, 1-3 Strand, London 주영국한국문화원

기간 : 2023.05.10 - 06.30

참여작가 : 조대용, 김익영, 신혜림, 이규홍, 천우선, 박성열, 장재녕, 이영선, 권중모, 정다혜, 하신혁

주최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KOFICE), 주영국한국문화원 (KCCUK)

주관 : 솔루나아트그룹

후원 : LONDON CRAFT WEEK, LOEWE FOUNDATION


Weaving ‘east and west’, ‘tradition with contemporary times’ the exhibition ‘Light of Weaving: Labour-Hand-Hours’ explores the notion of ‘weaving’ in craft. The subject connects all materials. In textiles, the warp and the weft are the main components to create a piece of fabric. Similarly, with bamboo wood it is sliced and cut into fine strips to be woven together. With horsehair, it is twisted, turned and altered to create a unique shape. In ceramics there exists a technique known as coiling, where long rope-like clay strips are attached together to make a vessel. Moreover in craft, materials imitate one another. Thick metal wire can be welded together like a wicker basket. Although materials differ, the notion of attaching, assembling and shaping is the same for all. Skills in mastering a single material, takes hours of practice with invested labor of the maker. Years of practice, is the result of the work and this is the same for all cultures.

 

Craft is a field that requires patience and time. It tells the story of the maker and its background. Once a person becomes interested in craft, there is no going out because it is the story about us, as human beings, with room to relate. We question why artists choose to work in certain materials. It is almost like fate. The shapes they create are also unique. The story behind their search to work in a particular way is truly intriguing. Why is Dahye Jeong working in horsehair, a diminishing trait, and basing it back to the Joseon Dynasty (1392-1910).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eyong Cho is the fifth generation bamboo blind maker, what does he hope to achieve from continuing the family tradition? His work was featured in the Netflix series ‘Kingdom’. Yikyung Kim is the first generation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artist expressing porcelain in her own way. Jaenyoung Jang creates almost perfect porcelain objects. The exhibition also features the 2023 Loewe Foundation Finalists – Kyouhong Lee inspired by traditional Korean living object. Healim Shin deconstructs canvas to create one-off objects and art jewelry and Woosun Cheon makes metal wicker-like pieces. The 2020 Loewe Foundation Sungyoul Park experiments with the lacquer sap. To end, Jungmo Kwon experiments with Korean paper to develop lights and Sinhyeok Ha creates clay landscapes with his vessels. Youngsun Lee’s textile pieces are an interpretation of Korean monochrome paintings.


The exhibition explores the notion of ‘weaving’ by experimenting with subtleness, light and shadow, silhouette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aesthetics. Koreans are known for being practical. There always exists a reason for everything. Presenting the best, also finds a way into the minds of everyone, and we believe that this exhibition will create its own resonance in the UK to the British audience.



 ‘동서양을 공예로 엮다’ ‘전통과 현대의 시간 엮다’의  주제로 개최되는 본 전시는 공예의 다양한 물성과 기법을 제시하여 보다 직접적으로 ‘엮는’ 의미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공예에 있어서 ‘엮는’ 행위는 재료를 기술로 연마하는 데 있어서 필연적 행위이다. 대나무를 실과 엮고, 말총 한 올 한 올을 연결하고, 금속 물질을 절단하여 용접하고, 점토를 띠로 말아 쌓는 등, 물성은 다르지만 시간과 노력에 의해 습득된 기술로 형상이 만들어지는 것은 동일하다. 문화를 막론하고 공예는 일상에서 필요한 사물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했으며,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재료로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만들었다. 인류의 진화, 변천과 함께 공예는 사회적인 변화에 반응하면서 지금까지 그 역사와 전통을 이어왔으나, 재료와 표현의 폭은 더욱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전통의 계승과 동시에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공예는문화적 역사의 변천을 고스란히 담은 매력적인 분야이다. 창작자는 재료부터 완성의 순간까지, 선택에 의한 숙명적 삶을 살며 정진한다. 5대를 이어 대나무를 쪼개어 발을 엮어가는 조대용 장인, 사라져가는 말총공예를 새롭게 선보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정다혜 작가, 한국의 1세대 도예가로써 백자에 질박한 면의 깊이를 담는 김익영 작가, 한지의 무구한 매력에 매료되어 은은한 한지 조명 작업을 이어오는 권중모 작가, 단정한 선이 돋보이는 도자 작업을 이어오는 장재녕 작가, 옻 자체의 물성에 집중하여 새로운 작품세계를 선보이는 박성열 작가, 섬유의 층으로 한 폭의 수묵화를 표현하는 이영선 작가, 핸드빌딩 기법으로 점진적 단색의 변화를 표현하는 하신혁 작가를 포함하여, 2023 로에베 재단 공예상에서 자랑스러운 수상을 기념한 한국의 파이널 리스트(신혜림, 이규홍, 천우선)가 함께 참여한다. 신혜림 작가는 기법, 색, 재료를 추상화하고 은유화하여 장식(ornament)의 이야기를 담았고, 이규홍 작가는 맷돌, 다듬잇돌 등 전통 사물에서 영감을 받아 유리와 옻 그리고 금의 결합을 시도하였으며, 천우선 작가는 단단한 금속 재료로 곡선의 기형을 제작하여 물성과 상반되는 부드러운 느낌을 표현하였다. 전통에서 시작하여 동시대적 미감을 선보이는 작가들의 장인 정신은 끝없는 노력과 연마로 이어져 한국 공예의 맥을 잇고 있다.


본 전시에서는 현재 활발히 활동하며, 다양한 물성을 다루는 작가들의 작품을 다채롭게 소개하고자 한다.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효과적인 연출과 음영의 조화로 표현되는 시-공간적 요소를 활용하여 <Light of Weaving: Labour–Hand–Hours>전시를 완성하였다. 재료를 엮어 탄생되는 작품의 양감과 여백의 공간감, 빛과의 조화를 강조한 '한국의 미'를 세계적인 공예의 주요 거점인 영국에서 함께 공유하고, 현시대의 수준 높은 한국 공예를 바라보며 앞으로 발전의 영역을 탐색하고자 한다.


SOLUNA CURATOR 이 채 림